
[매일뉴스] 지난달 26일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된 강선우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23일 전격 사퇴 의사를 밝혔다. 지명 27일 만의 낙마다.
강 후보자는 이날 오후 개인 SNS를 통해 “모든 것을 쏟아부어 잘해보고 싶었지만, 여기까지였던 것 같다”며 “국민과 이재명 대통령, 민주당에 큰 부담을 드려 죄송하다”고 전했다. 이어 “큰 채찍을 감사히 받아들이며 성찰하며 살겠다”고 덧붙이며 입장을 밝혔다.
강 후보의 사퇴는 지명 직후 제기된 보좌진 대상 ‘갑질’ 의혹이 직접적 배경이 됐다. 일부 언론 보도를 통해 비데 수리, 쓰레기 분리수거 등 사적 업무 지시 의혹이 제기되며, 여론의 비판 여론이 확산됐다.
특히 강 후보가 과거 “정영애 전 여성가족부 장관보다 잘할 자신 있다”고 언급한 것발언이 논란이 되며 전임 장관과의 비교가 정치권에서 이뤄졌다.
당·정·청 모두 “불가피한 결단”…후임 인선 시동
강 후보 사퇴 이후 민주당은 공식 입장을 내고 진화에 나섰다. 박상혁 수석대변인은 “후보자의 결단을 존중한다”며 “인사청문회 과정에서 수차례 사과한 점을 감안해달라”고 말했다. 다만 사과문에 보좌진에 대한 직접 언급은 없어 아쉬움을 남겼다.
박 대변인은 “보좌진협의회 등과 함께 유사 사례 재발 방지를 위한 개선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국민의힘은 “이번 사태는 인사 검증 시스템 전반의 총체적 실패를 보여준 것”이라며 “여권이 국민 눈높이에 맞는 인사 기준을 다시 세워야 한다”고 비판했다. 대통령실은 “국민 눈높이에 맞춘 후임 인선이 신속히 이뤄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국회의원 중 청문회 최단 낙마 사례…정권 리스크 부각
강선우 후보자의 자진 사퇴는 현직 국회의원이 장관 후보자로 지명된 뒤 청문회에 앞서 낙마한 가장 빠른 사례로 기록될 전망이다.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이미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지명 철회된 데 이어 두 번째 장관급 낙마다. 여권 내부에서는 “청문 정국 장기화와 국민 피로도 증폭을 피하기 위한 정치적 결단”이라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인사 전략 수정 불가피…검증 시스템 전환점 될까
이번 사퇴로 여권의 인사 전략에도 전면 재정비가 불가피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특히 청문회를 앞두고 반복적으로 도덕성과 자질 검증에서 후보자들이 흔들리는 상황이 거듭되면서, 내부 검증 체계의 실효성과 투명성이 도마에 올랐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단순한 인사 실패가 아니라, 인재 발굴과 등용의 철학부터 다시 점검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청문회를 둘러싼 소모적 갈등을 줄이고, 공직자 자질 검증 기준을 보다 명확히 해야 한다는 요구가 이어지고 있다.